- 유사는 지각의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물이나 바람 등에 의해 침식, 이송, 퇴적된 물질로서 통상 하천의 한 단면을 단위시간 동안 통과하는 토사의 양
- 하상변동은 일정 기간 동안 한 하천 구간 내에서 하상과 고수부지에 쌓이거나 깎이는 정량적인 양
- 유사량은 하상변동 특성, 댐, 저수지, 보 등의 토사퇴적량 예측, 하천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, 하도의 안정성 검토, 유역 토사유출량 산정 등을 위한 기본자료
- 하상변동은 하상의 세굴 및 퇴적 등이 하천의 소통능력, 하천시설의 안전이나 고유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용되는 자료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|
---|---|---|---|---|
유사 (total sediment load) |
부유사(suspended load) | 세류사 (wash load) |
측정 유사 (sampled load) |
|
하상토 유사 (bed material [sediment] load) |
||||
소류사(bed load) | 도류사(saltation load) | |||
접류사(contact load) | 미측정 유사 (unsampled load) |
- 한 측선에서 노즐을 계속 열어 수면부터 하천바닥까지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동안 부유사를 채취
- 측정방법 : 도섭법, 교량법
- 측정기기: DH-48, DH-59, DH-75, DH-76, DH-81, DH-81A, DH-86, DH-95, D-43, D-49, D-74, D-77, D-95, D-96 채취기
- 노즐의 개폐가 가능하여 한 측선의 특정 수심에서만 노즐을 열어 부유사를 채취
- 측정방법 : 교량법
- 측정기기 : P-61, P61-A1, P-63, P-72 채취기
- 측정방법 : 기계식 채집형, 하상형태 추적형
- 측정기기 : BL-84, BLH-84 채취기
- 하천 유사량은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 특정시간에 측정한 유사량과 이에 대응하는 유량자료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유사량자료 생산